글 게시 후 포스트리스트나 최신글에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을때

글 게시 후 포스트리스트나 포스트그리드에 최신글에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매번 관리자 페이지 > 엘레멘터 > 설정 에 가서 캐시를 삭제해줘야 한다. 이게 맞나?

챗지피티에게 물어보니 플러그인을 많이 쓴다고 한다. 채티는 몇개 추천해줬는데 100만 이상이 다운로드 받고, 별점도 제일 좋은 WP Fastest Cache를 설치했다. 일단 글쓰기를 새로 했으면 무조건 캐시는 지워지는 걸로 설정했다. 잘 작동함.

WP Fastest Cache설정 | 비활성화가장 간단하고 빠른 WP 캐시 시스템

Elementor(엘리멘터)의 캐시 시간 설정은 직접적인 “캐시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은 없지만, Elementor 자체 캐시 관리와 추가 캐시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Elementor 자체 설정과 함께 WP 캐시 설정Cloudflare 사용 시 조정 방법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 Elementor 자체 캐시 관련 설정

Elementor는 자체적으로 CSS/JS 파일을 생성하고 캐싱하지만, 캐시의 “시간 설정”은 명시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신 다음 설정과 작업으로 캐시를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1. Elementor 캐시 수동 삭제

  • Elementor > 도구 > 파일 및 데이터 탭에서
    → CSS 캐시 제거 버튼 클릭.

2. Elementor 고급 설정에서 압축 옵션 조정

  • Elementor > 설정 > 고급 탭
    • CSS 출력 방법: 내부 삽입 or 외부 파일 → 내부 삽입을 선택하면 브라우저 캐시보다는 실시간 렌더링에 더 의존하게 됨.

✅ WordPress 캐시 플러그인에서 캐시 시간 설정

Elementor 사용자는 대부분 다음과 같은 캐시 플러그인을 병행 사용합니다. 이 플러그인들이 **캐시 만료 시간(Expiration time)**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 WP Super Cache

  • 설정 > WP Super Cache > 고급
    • 페이지 캐시 수명 (초)에서 캐시 지속 시간 설정 가능 (예: 3600초 = 1시간)

예: W3 Total Cache

  • Page Cache > General Settings
    • 캐시 유효 기간 조정 가능
  • Browser Cache 설정에서 CSS/JS/HTML에 대한 expires header 설정 가능

예: LiteSpeed Cache

  • Cache > TTL (Time To Live) 탭에서
    • Public Cache TTL → 페이지 캐시 시간 (기본 604800초 = 7일)

✅ Cloudflare 사용 시 캐시 시간 조정

Cloudflare 사용 시 다음 위치에서 TTL(Time to Live) 조정 가능:

  • Caching > Configuration > Browser Cache TTL:
    → 30분, 1시간, 1일 등 설정 가능
    → 사용자 브라우저가 캐시를 얼마나 유지할지 결정

✅ 요약: 캐시 시간 설정 체크리스트

구성 요소설정 위치시간 설정 가능 여부
Elementor 자체❌ (직접 설정 없음)수동 제거만 가능
WP 캐시 플러그인TTL 설정 가능
CloudflareTTL 설정 가능
브라우저 캐시 제어✅ (플러그인 또는 헤더)Expires/Cache-Control 사용

👉 팁

  • Elementor만 사용하고 별도 캐시 플러그인이 없다면, LiteSpeed Cache 또는 WP Super Cache 같은 캐시 플러그인을 도입하는 것이 캐시 제어에 유리합니다.
  • 캐시가 너무 오래 유지되면 스타일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1~6시간 사이로 캐시 TTL을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